글 작성자: juyoungit

Command 모드에서는 지우기와 관련된 명령들도 여러가지 존재하는 데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.

종류

기능

x

한 글자 지우기

dw

현재 커서의 위치에 해당하는 단어 지우기

dd

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지우기

(숫자)dd

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부터 숫자만큼의 라인내용 삭제

D

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라인 끝까지 삭제

J

커서 아래라인을 커서 라인에 공백하나를 추가하고 붙임

y

한 라인의 내용을 모두 복사

p

붙여넣기

1. x - 한글자 지우기

다음의 상태에서 x를 입력하면

Insert 모드로 변경하지 않았음에도 삭제가 이루어졌다. 해당커서가 위치했었던 "r" 문자가 삭제되었다.

2. dw - 현재 커서의 위치에 해당하는 단어 지우기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dw를 입력하면

커서가 위치해있던 단어 prod가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4. dd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지우기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dd를 입력하면

다음과 같이 커서가 위치했었던 해당라인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4. (숫자)dd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으로부터 숫자만큼의 줄의 내용 지우기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5dd 를 입력하면

이렇게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포함하여 아래로 5줄의 내용을 모두 삭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5. D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위치부터 라인 끝까지 삭제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D를 입력하면

다음과 같이 커서가 위치한 위치부터 라인끝까지 정보가 삭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6. J - 커서 아래라인을 커서라인에 공백을 하나두고 붙임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J를 입력하면

커서의 아래에 있는 라인을 커서가 있는 라인으로 공백문자 한개를 두고 붙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7. y, p - 복사, 붙여넣기

vim에서는 삭제기능이 잘라내기 기능으로 동작한다. 그래서 삭제된 내용은 임시저장을 하는 레지스터에 등록된다. 그리고 이 레지스터에 있는 내용을 붙여넣는 명령어가 p이다. 즉, p는 무조건 복사한 것만 붙여넣기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가장 최근에 삭제한 내용에 대해서도 붙여넣을 수 있다.

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이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dd 명령을 이용해서 삭제한 후 p명령을 계속 입력해보면

다음과 같이 최근에 삭제한 내용에 대해서도 붙여넣기가 이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그리고 y명령을 입력하면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내용을 복사하게 되는 데

예를들어 커서가 위치한 152번 라인 내용을 y키를 눌러서 복사하게 되면

이전처럼 p 명령을 입력해서 원하는 위치에 다음과 같이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 할 수 있게 된다.

'Tools > Vi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mmand mode - 커서이동  (0) 2021.02.06
Command mode - 내용변경 명령  (0) 2021.02.06
Command mode - undo / redo  (0) 2021.02.06
Command Mode -> Insert(Edit)모드로 진입하는 명령  (0) 2021.02.05
Vim 이란 무엇인가?  (0) 2021.02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