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 작성자: juyoungit

html style 속성은 색상, 글꼴, 크기 등과 같은 스타일 요소를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.

해당 속성은 다음의 문법적 구조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

<tagname style="property:value;">
<!-- property = CSS property -->
<!-- value = CSS value -->

주석에서 언급한 것처럼 property는 CSS property, value는 CSS value를 의미한다.

CSS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알아볼테니 일단은 이정도로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

 

배경색상(Background Color)

배경색상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"background-color" 속성을 정의하면 된다.

배경색상은 페이지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각 요소들에 대해서 따로 적용할 수도 있다.

페이지 전체의 배경색상을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<body>태그에 style 속성을 추가해주면 된다.

 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 

그리고 각 요소의 배경화면을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각 태그에 style 속성을 추가해주면 된다.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그리고 다음 두 요소를 함께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.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
서체색상(Text Color)

서체의 색상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"color" 속성을 정의하면 된다.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
서체(Text Font)

서체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"font-family" 속성을 정의하면 된다.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
서체크기(Text Size)

서체크기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"font-size"속성을 정의하면 된다.

서체크기 지정은 기본으로 지정된 크기의 몇% 수준으로 키울 것인지를 입력해주면 된다.

예시처럼 300%은 기본 지정크기의 3배 크기로, 150%는 기본 지정크기의 1.5배 크기로 서체 크기를 지정하겠음을 의미한다.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
서체정렬(Text Alignment)

워드 문서파일을 만들 때를 생각해보면 작성한 문자열을 문서의 중앙으로 혹은 왼쪽, 오른쪽으로 정렬하는 경우가 있다.

이를 html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데 해당 서체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"text-align" 속성을 정의하면 된다.

작성한 코드(왼쪽), 웹 브라우져에서 나타나는 모습(오른쪽)


 

 

각 스타일별로 정의해줘야 하는 css 속성을 다시한 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.

설정하고자 하는 요소 정의해야하는 속성
HTML 요소 style
배경색 background-color
서체 색상 color
서체 font-family
서체크기 font-size
서체정렬 text-align

 

'Web Basic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ML Quotation & Comments (인용구 & 주석)  (0) 2020.07.20
HTML Formatting(서식)  (0) 2020.07.20
Heading(제목) & Paragraphs(단락)  (0) 2020.07.20
HTML 기초  (0) 2020.07.20
HTML 개요  (0) 2020.07.20